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사회/중학사회10

[중학1사회1] 우리나라의 자연 경관(산지, 해안, 카르스트, 화산섬-요약정리) 오늘은 우리나라의 자연경관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산지지형, 해안지형, 카르스트지형, 화산섬 제주도 순으로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 함께 배워봅시다. 목차 1 산지지형 2 해안지형 3. 카르스트 지형 4 화산섬, 제주도 1. 산지지형 우리나라는 산지가 상당히 많습니다. 국토의 약 70%가 산지지형이면서 대체로 낮고 완만합니다. 해발고도가 400m, 600m 정도로 아담한 산들이 많습니다. 높은 산지들은 대부분 북동부 지역에 분포하고 있습니다. 왼쪽 사진에서 한반도를 반으로 잘라 뉘어서 보면 오른쪽의 동고서저의 지형을 볼 수 있습니다. 1) 돌산과 흙산의 특징 돌산 흙산 ○땅속 깊은 곳에서 형성된 화강암을 덮고 있던 지층이 침식을 받아 제거되며 드러난 산을 말한다. ○대표적으로 금강산, 설악산, 북한산 관.. 2023. 5. 28.
[중학1사회1] 해안지형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1. 다양한 해안지역 2. 조류의 작용으로 만들어진 해안지역 3. 해안 지역의 주민 생활 1. 다양한 해안지역 바닷물이 바람의 영향을 받아 일렁이는 물결인 파랑 때문에 해안가로 툭 튀어나온 곶은 침식작용이 활발하고 반대로 들어가 있는 만은 파랑의 에너지가 분산되며 퇴적 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납니다. ▶암석해안 파도의 침식작용이 활발합니다. 여러 지형이 만들어지는데 4가지 종류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해식애는 파도의 침식 작용으로 형성된 절벽을 말합니다. 파식대는 파도의 침식작용으로 형성된 해식애 절벽에 생긴 완경사의 평탄면을 말합니다. 해식동굴은 파도의 침식 작용으로 해식애에 형성된 동굴을 뜻합니다. 원래 절벽이었다가 파도의 침식작용으로 인해 돌기둥처럼 변한 것을 '시 스택'이라고 합니다. 큰 절벽에 중간.. 2021. 7. 13.
[중학1사회1] 산맥과 산지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1. 산지 지형의 형성과정 2. 세계의 산맥과 산지 3. 산지의 주민생활 1. 산지 지형의 형성과정 지형이 형성되는 작용은 크게 두 가지 요인으로 나뉩니다. 지구 내부에는 굉장히 뜨거운 열에너지가 있습니다. 이 열에너지의 작용으로 지각이 움직이고 지각이 발달합니다. 지표의 기복 발달로 인해 큰 지형들이 나타납니다. 어떤 작용들이 있을까요? 융기와 침강이 있습니다. 융기는 솟아오르는 것, 침강은 가라앉는 것을 말합니다. 이를 '조륙 운동'이라고 합니다. 육지를 만드는 조륙 운동이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양쪽에서 밀어붙여 휘어져 산이 만들어지는 운동을 '조산 운동'이라고 합니다. 또 다른 활동으로는 '화산 활동'이 있습니다. 원래는 땅속에 있어야 되는 마그마가 지표의 갈라진 틈이나 약해진 틈을 뚫고 솟아오릅니.. 2021. 7. 12.
[중학1사회1] 9단원 건조기후 지역과 툰드라 기후 건조 기후의 특징 건조 기후 지역은 말 그대로 비가 적게 와서 건조합니다. 연 강수량이 일 년 내내 500mm 미만입니다. 내리는 비 보다 증발량이 크기 때문에 건조합니다. 건조한 기후 지역의 또 하나의 특징은 일교차가 상당히 큽니다. 땅 위에 물도 수분도 없고 생물도 잘 자라지 않기 때문에 태양이 내리쬐면 금방 뜨거워지고 해가 지면 순식간에 기온이 식어서 일교차가 매우 큽니다. 건조 기후 지역은 사막기후와 스텝 기후로 나눌 수 있습니다. 사막 기후는 연 강수량이 250mm 미만, 스텝 기후는 연 강수량 250~500mm 미만으로 내립니다. 스텝 기후 지역이 그래도 비가 내리는 편입니다. 사막기후는 남, 북 회귀선 부근, 대륙 내부, 한류가 흐르는 해안 등에 나타납니다. 스텝 기후는 사막을 둘러싼 지역에.. 2021. 6.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