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5

[중학1사회1] 우리나라의 자연 경관(산지, 해안, 카르스트, 화산섬-요약정리) 오늘은 우리나라의 자연경관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산지지형, 해안지형, 카르스트지형, 화산섬 제주도 순으로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 함께 배워봅시다. 목차 1 산지지형 2 해안지형 3. 카르스트 지형 4 화산섬, 제주도 1. 산지지형 우리나라는 산지가 상당히 많습니다. 국토의 약 70%가 산지지형이면서 대체로 낮고 완만합니다. 해발고도가 400m, 600m 정도로 아담한 산들이 많습니다. 높은 산지들은 대부분 북동부 지역에 분포하고 있습니다. 왼쪽 사진에서 한반도를 반으로 잘라 뉘어서 보면 오른쪽의 동고서저의 지형을 볼 수 있습니다. 1) 돌산과 흙산의 특징 돌산 흙산 ○땅속 깊은 곳에서 형성된 화강암을 덮고 있던 지층이 침식을 받아 제거되며 드러난 산을 말한다. ○대표적으로 금강산, 설악산, 북한산 관.. 2023. 5. 28.
[중학1사회1] 해안지형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1. 다양한 해안지역 2. 조류의 작용으로 만들어진 해안지역 3. 해안 지역의 주민 생활 1. 다양한 해안지역 바닷물이 바람의 영향을 받아 일렁이는 물결인 파랑 때문에 해안가로 툭 튀어나온 곶은 침식작용이 활발하고 반대로 들어가 있는 만은 파랑의 에너지가 분산되며 퇴적 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납니다. ▶암석해안 파도의 침식작용이 활발합니다. 여러 지형이 만들어지는데 4가지 종류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해식애는 파도의 침식 작용으로 형성된 절벽을 말합니다. 파식대는 파도의 침식작용으로 형성된 해식애 절벽에 생긴 완경사의 평탄면을 말합니다. 해식동굴은 파도의 침식 작용으로 해식애에 형성된 동굴을 뜻합니다. 원래 절벽이었다가 파도의 침식작용으로 인해 돌기둥처럼 변한 것을 '시 스택'이라고 합니다. 큰 절벽에 중간.. 2021. 7. 13.
[중학1사회1] 산맥과 산지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1. 산지 지형의 형성과정 2. 세계의 산맥과 산지 3. 산지의 주민생활 1. 산지 지형의 형성과정 지형이 형성되는 작용은 크게 두 가지 요인으로 나뉩니다. 지구 내부에는 굉장히 뜨거운 열에너지가 있습니다. 이 열에너지의 작용으로 지각이 움직이고 지각이 발달합니다. 지표의 기복 발달로 인해 큰 지형들이 나타납니다. 어떤 작용들이 있을까요? 융기와 침강이 있습니다. 융기는 솟아오르는 것, 침강은 가라앉는 것을 말합니다. 이를 '조륙 운동'이라고 합니다. 육지를 만드는 조륙 운동이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양쪽에서 밀어붙여 휘어져 산이 만들어지는 운동을 '조산 운동'이라고 합니다. 또 다른 활동으로는 '화산 활동'이 있습니다. 원래는 땅속에 있어야 되는 마그마가 지표의 갈라진 틈이나 약해진 틈을 뚫고 솟아오릅니.. 2021. 7. 12.
주기율표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자. 아래의 표가 원소의 '주기율표'다. 표에 적힌 알파벳은 원소를 기호로 나타낸 '원소 기호'다. 여기서 번호는 '원자 번호'라고 불린다. 자연계의 일반적인 물질은 원자로 이루어져 있다. 우리 인간을 비롯한 생물의 몸도, 우리 주변의 다양한 사물들로 원자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주기율표를 이해하는 것은 자연계를 이해하는 것과 같다. 1. 주기율표의 탄생비화 2. 원자란 무엇인가 3. 1주기 원소 1. 주기율표의 탄생비화 1869년 러시아 페테르부르크 대학의 화학 교수 드미트리 멘델레예프는 집필 중이던 화학 교과서에 원소를 어떻게 소개해야 할지 고민하고 있었다. 그는 카드게임의 연관성을 이용하였다. 그는 곧바로 카드 모양의 백지에 원소의 이름과 원자량 등을 적고 비슷한 성질을 가진 원소끼리 그룹별로 나눈 .. 2021. 7. 4.
[중학1사회1] 9단원 건조기후 지역과 툰드라 기후 건조 기후의 특징 건조 기후 지역은 말 그대로 비가 적게 와서 건조합니다. 연 강수량이 일 년 내내 500mm 미만입니다. 내리는 비 보다 증발량이 크기 때문에 건조합니다. 건조한 기후 지역의 또 하나의 특징은 일교차가 상당히 큽니다. 땅 위에 물도 수분도 없고 생물도 잘 자라지 않기 때문에 태양이 내리쬐면 금방 뜨거워지고 해가 지면 순식간에 기온이 식어서 일교차가 매우 큽니다. 건조 기후 지역은 사막기후와 스텝 기후로 나눌 수 있습니다. 사막 기후는 연 강수량이 250mm 미만, 스텝 기후는 연 강수량 250~500mm 미만으로 내립니다. 스텝 기후 지역이 그래도 비가 내리는 편입니다. 사막기후는 남, 북 회귀선 부근, 대륙 내부, 한류가 흐르는 해안 등에 나타납니다. 스텝 기후는 사막을 둘러싼 지역에.. 2021. 6. 15.
[중학1사회1] 8단원 온대 기후 지역의 생활 온대 기후의 특징과 분포 온대기후의 특징은 계절의 변화가 뚜렷하다. 기온이 온화한 편이고, 강수량도 적당하기 때문에 인간이 생활하는데 아주 유리하다. 주로 중위도 지역에 온대 기후가 나타난다. 온대 기후 지역 같은 경우는 온대 계절풍 지역, 우리나라가 속해 있는 유라시아 대륙 동쪽에서 많이 보이고 있다. 아메리카 동쪽에서도 마찬가지로 많이 나타난다. 서안 해양성 기후는 서쪽 해안에서 많이 나타난다. 그래서 유라시아 대륙의 서쪽 해안 쪽, 그리고 북아메리카 대륙의 서쪽 해안 쪽에서 바다의 영향을 많이 받아 다른 지역보다 연교차가 훨씬 적다. 지중해성 기후는 이베리아 반도 쪽의 일부, 오스트레일리아의 서남쪽, 캘리포니아 일대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주로 포도나 와인이 유명한 곳이 지중해성 기후라고 생각하면 된.. 2021. 6. 12.
[중학1사회1] 7단원 열대 우림 기후 지역의 생활 열대 우림 기후 지역의 자연환경 열대 우림 기후 지역은 적도가 지나가는 곳을 중심으로 해서 나타납니다. ①아프리카의 콩고 분지 쪽에서 열대 우림 기후를 볼 수 있습니다. ②동남아시아의 인도네시아와 같은 섬 지역에서도 나타납니다. ③아마존강 유역을 중심으로도 많이 나타납니다. 열대 우림 기후는 열대 기후 중에서 일 년 내내 비가 많이 내리는 기후입니다. 기온 가장 추운 달의 평균기온도 18도 이상이다. 계절의 변화 없이 연중 더운 날씨가 지속된다. 연교차보다 일교차가 더 크다. 강수량 연중 강수량이 많아 매우 습하다. 열대성 소나기가 거의 매일 내린다. 열대 우림 기후 지역의 식생 경관 다양한 높이의 나무들이 빽빽하게 들어서 밀림이 형성된다. 역할 다양한 동물의 서식지(생태계의 보물창고) 이산화탄소 흡수,.. 2021. 6. 11.
[중학1사회1] 6단원 우리와 다른 기후, 다른 생활 세계의 기후 지역을 전체적으로 보면서 다 다양한 기후에 대해 공부해 보려고 한다. 세계 기후 지역을 구분하는 방법, 열대, 온대, 냉대, 한대, 건조 기후의 특징과 인간 거주에 유리한 기후 지역과 불리한 기후 지역에 대해 알아보자. 1. 기후의 의미 2. 기후 지역의 구분 3. 인간 거주와 기후 1. 기후의 의미 기후는 날씨와 다른 의미다. 날씨는 그날의 아주 짧은 시간의 대기 상태를 말한다. 기후는 한 지역에서 여러 해 동안 반복적으로 타나는 종합적이고 평균적인 대기의 상태를 말한다. 기후의 요소에는 기온, 강수량, 바람과 같은 요소로 기후를 나타낸다. 요소가 달라지는 이유는 위도, 육지와 해양의 분포, 지형의 모양, 해류의 영향들 때문이다. 기온 위도 적도에서 높고 고위도로 갈수록 낮아진다. 육지와 .. 2021. 6. 7.
반응형